• TCP/IP
    •  초기 네트워크 모델 방식 
    • 4개의 계층으로 이뤄짐 
    • 프로토콜로 구분되어 있어서 프로토콜로 구분해서 이해할 때는 TCP/IP로 이해하면 편함 
  • OSI 7계층
    • 네트워크 통신을 표준으로 지정한 모델
    •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데이터 흐름을 각 구간별로 나눔 
    • 역할 기반
    • 7계층 HTTP, 4계층 TCP/UDP, 3계층 IP/ICMP/ARP, 2계층 이더넷 정도만 알아보면 됨
  •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, 패킷
    • 패킷이란?
      • 데이터 자체를 통칭해서 씀
      • 하나의 블록 단위 
      • 제어정보 + 사용자 데이터 (누가 누구에게, 어떻게, 뭘 요청하는지, 뭘 보내주는지 등의 정보가 패킷안에 담겨있다) 
      • 여러가지 프로토콜의 조합!
        • 패킷 안에 있는 프로토콜도 순서가 있다!
        • 헤더 + 페이로드 + 풋터 
          • 예를 들어
            • HTTP 프로토콜을 페이로드로 해서 TCP라는 헤더를 붙였음 -> 1 패킷 완성
            • 근데 다시 이 패킷을 페이로드로 해서 IPv4 프로토콜을 헤더로 붙임 - >  2 패킷 완성
            • 다시 이 패킷을 페이로드로 해서 Ethernet 프로토콜을 헤더로 붙임  -> 3패킷 완성 
          • 이 과정을 캡슐화라고 한다 
            • 이건 보낼 때 사용
            • 패킷을 만드는 과정 
            • 예 
              • 마음의 소리 몇 화가 보고 싶다고 요청함 네이버에
                • '나 마음의 소리 몇 화가 보고 싶어' -> 데이터 
                • 네이버의 웹서버와 연결해야 하니까 TCP로 캡슐화 했음 (TCP(헤더) + 데이터)
                • 멀리 가야하니까 Ipv4 헤더를 또 붙임 
                • 이 패킷을 페이로드로 해서 가까운 곳이랑 일단 연결해야 하니까 Ethernet 헤더를 붙임
              •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내려가면서 패킷을 붙임
    • 계층별 패킷의 이름 
      • TCP + 데이터 -> 세그먼트  (4계층의 PDU)
      • IPv4 + TCP + 데이터 -> 패킷 (3계층의 PDU)
      • Ethernet + IPv4 + TCP + 데이터 -> 프레임 (2계층의 PDU)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