• 네트워크 통신에서는 주로 IP주소를 통해 통신한다.
    • mac주소는 사람이 입력하기에 너무 복잡해서, 더 간단한 주소 체계인 IP주소를 통해 통신한다. 
  • IP주소는 3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 체계이다. 
    • 2계층은 mac주소이다. 
    • IP주소는 정말 복잡하다...........
  • 3계층에서 하는 일 
    • 다른 네트워크 대역을 연결시켜 준다.
    • LAN과 LAN을 연결시켜 주는 것이 3계층의 역할
    • 3계층의 대표적인 장비 - 라우터
      • 서로 다른 LAN을 묶어주려면 이것이 필요하다. 
    • 멀리 있는 네트워크와 통신할 때는 MAC 주소 뿐만이 아니라 IP 주소가 필요하다. 
    • ipconfig
      • IPv4 주소 : 현재 PC에 할당된 IP주소
      • 서브넷마스크 : IP 주소에 대한 네트워크의 대역을 규정하는 것
      • 게이트웨이 주소 : 외부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출입구 
        • 위의 3가지는 멀리있는 것과 통신하기 위한 최소한의 설정
  • 3계층 프로토콜 
    • ARP 프로토콜
      • IP주소를 이용해 MAC 주소를 알아오는 프로토콜
    • IPv4 프로토콜
      • WAN에서 통신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
    • ICMP 프로토콜
      • 서로가 통신되는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
  • IP 주소 (통산 IPv4주소)
    • 클래스 별로 나눠서 사용 (old version) - 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딱 정해져 있음 
    • MAC 주소는 6 Byte이고, IP주소는 4Byte다. 
      • 여기서 잠깐, 
        • 1 Byte는 8Bit , 2진수로 2^8 
          • 00000000 (0) ~ 11111111 (255) 
          • 0.0.0.0 ~ 255.255.255.255
    • 네트워크를 구분하고 -> PC를 구분하는데 쓰인다.
    • 기존에는 classful하게 썼는데 아이피주소가 부족해서 서브넷마스크를 이용해 네트워크를 구분한다.
      • 서브넷 마스크
        • 네트워크 대역을 나눠주는 데 사용하는 값
        • 2진수로 표기했을 때 1로 시작, 1과 1사이에는 0이 올 수 없다는 규칙 
          • 255.255.255.192 -> 11111111.11111111.11111111.11000000
            • 1인 지점까지가 네트워크를 구분하는 곳이고, 0은 그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에 속한 컴퓨터를 구분하는 데 쓰임
    • 현재 version IPv4
      •  사설 IP와 공인 IP 
        • 공인 IP 1개당 2^32개의 사설 IP
        • 공인 IP는 인터넷 네트워크 통신망에서 사용하는 IP 주소 
        • 사설 IP는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사용하는 IP 주소
      • 아이피 주소 부족 현상으로 사설 IP와 공인 IP로 구분해서 사용하기로 했다. 
        • 사설 네트워크 대역에 있는 장비들은 네트워크 통신을 할 때 공인 IP로 바꿔서 인터넷과 통신한다. 
          • 우리 강의장에서는 사설 네이버 같은 다른 네트워크 대역으로 갈 때 공인 IP로 바뀌어서 간다.
          • 따라서 외부에서 볼 때는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 있는 장비들이 구분이 되지 않는다.
          • 네이버가 우리한테 웹툰을 보내주면, 공인 IP로 들어오지만 공유기에서 누가 요청한건지 찾아서 전달해준다.
          • 인터넷 비용을 매월 3만원씩 낸다 -> 공인 IP 하나를 사는 것임
            • 집에 있을 때는 공유기를 통해 통신하는 것임 (컴퓨터, 핸드폰 이용)
        • NAT (Network address translator)
          • 사설 IP에서 공인 IP로 바꿔주는 것  - NAT는 기술임
            • NAT table에 요청이 나갈 때 기록함 
            • 나간적이 없어서 NAT table에 기록된 게 없는데 어디선가 공유기에 데이터를 전달하면 공유기가 받고 끝이 난다. 
            • 서버는 어떻게 되나?
              • 웹서버 (네이버)가 있다고 치자.
              • 우리가 네이버에 요청을 하고, 웹서버는 사설IP대역에 있다 치면..
              • 네이버는 나간적이 없으니까 NAT 테이블에 기록이 안되어 있을테니 요청을 받아도 기록된게 없어서 응답을 보내줄 수 없음
              • 서버는 따라서 공인 IP를 주로 씀 
                • 아니면 공유기에 뭔가 추가 설정을 함 (포트포워딩) 
          • 이 기술을 이용해서 IP부족 현상을 해결한 것 
        • 0.0.0.0 (wildcard)
          • 나머지 모든 IP주소를 말함 
          • 일반적이지 않음 
        • 127.0.0.1 
          • 자기 자신을 뜻하는 주소 
          • 통신이 안될 때 내 아이피 주소에 ping 때려봄 
        • 게이트웨이 주소 
          • 공유기의 IP 
          • 쓸 수 있는 IP에서 가장 적거나 가장 큰 IP 주소를 적음 
          • 설정 안되어 있으면 인터넷이 안됨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+ Recent posts